DevOps K8S(3) – 이 Pod 이 그 Pod? Namespace, Label, Selector
Kubernetes의 Namespace를 이용한 리소스 구성과 Label & Selector를 활용한 객체 그룹화에 관한 설명과
Namespace를 지정한 Pod 생성 방법과 리소스 할당량 제한 방법, 그리고 Annotations의 역할에 대해 알아봅니다.
Kubernetes의 Namespace를 이용한 리소스 구성과 Label & Selector를 활용한 객체 그룹화에 관한 설명과
Namespace를 지정한 Pod 생성 방법과 리소스 할당량 제한 방법, 그리고 Annotations의 역할에 대해 알아봅니다.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네트워킹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Kubernetes에서의 Pod와 Service의 역할과 구성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 회차 베스픽에서 MWC 2024 에 대해 얘기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쿠버네티스의 주요 컴포넌트와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화물선 운송과 비교하여 마스터 노드, etcd, kube-apiserver, kubelet, kube proxy 등이
어떻게 작동하고 상호작용하는 지를 설명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성숙도 모델(Cloud Native Maturity Model)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며,
기업이 클라우드 네이티브로의 전환을 시작하거나 진행하는 방법과 주요 단계를 설명합니다.
Sora를 비롯해 미디어 업계의 AI 활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탄소 배출권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Ansible Register로 저장한 데이터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register 모듈을 사용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리소스의 ID를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 조금 더 살펴보고자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의 베스픽은 AI 열풍의 가장 큰 수혜주로 꼽히고 있는 AI 반도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KS(ElasticSearch + Fluented + Kibana) + Fluent bit + OpenSearch 구성을 통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각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