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베스핀 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Route53”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2가지 실습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 [실습 1] “Route53″에서 DNS 구입하기
- [실습 2] 다른 곳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에 등록하기

“Route53″의 정의
Route53 서비스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www.haru.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192.168.x.x”와 같이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을 EC2, ELB, S3 버킷 등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인프라에 효과적으로 연결해줍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는 제가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참고하였던 AWS 공식 문서입니다🤗
이 링크는 “AWS Route53” 에 대한 주요 개념과 특징 및 도메인 등록 방식에 대한 문서입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Welcome.html
https://docs.aws.amazon.com/ko_kr/Route53/latest/DeveloperGuide/welcome-domain-registration.html
[실습 1] Route53에서 DNS 구입하기
“Route53″을 사용하여 신규 도메인을 등록해 보겠습니다!
**) 주의 – 신규 DNS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DNS 사용료가 발생됩니다.

Route 53에서 등록된 도메인 메뉴를 클릭하고 신규 도메인 등록을 위해 [도메인 등록]버튼을 클릭합니다.

Route 53 -> [도메인 이름 선택] 페이지에서 등록할 도메인을 입력하고 등록할 도메인의 끝자리 구분자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른 후 하단의 [계속]버튼을 클릭합니다.


원하는 도메인의 등록 가능 여부를 확인 후 해당 도메인을 등록하길 원하면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눌러 [장바구니]에 추가 후 하단의 [계속] 버튼을 누릅니다.






[실습 2]다른 곳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에 등록하기
이번에는 도메인 판매 업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여 “Route53″에 등록하는 과정을 실습해 봅시다!

“Route53″이 아닌 다른 판매 사이트(후이지, hosting.kr 등)에서 도메인을 구매합니다.
참고로 저는 hosting.kr에서 구매하였습니다.
# hosting.kr 도매인 판매 사이트
https://www.hosting.kr

이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에 연결하기 위해 Route53 서비스로 이동합니다.

- 도메인을 등록 관리하기 위해 “호스팅 영역” 클릭
- 구입한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 상단의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 클릭

다음과 같이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유형”은 [퍼블릭 호스팅 영역]을 선택한 후 [생성] 버튼 선택합니다.

본인이 등록한 호스트존에 대한 Type이 “NS”인 행을 선택하여 4개의 Name server 정보를 확인합니다.


도메인 구매 업체에 로그인하여 [DNS 설정] 페이지에서 [네임 서버 변경]을 선택한다.
Route 53에서 발급된 ns를 도메인 구매업체 사이트에서 네임서버에 등록시켜 준다.


5~10분 후 등록한 도메인의 네임 서버가 정상적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렇게 “Route53에서 DNS 구입하는 방법”과 “다른 곳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DNS의 구성 체계와 동작 원리도 함께 공부해 볼 수 있었고 실용성과 가성비를 함께 겸비한 Route53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습니다!
2가지 방법 모두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5~10분 정도 후에 바로 확인이 가능하니, 나만의 도메인명으로 Route53 서비스를 함께 실습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이에 따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댓글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클라우드 기술지원팀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