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주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베스픽의 원픽
이 바보야, 문제는 돈이야(aka. 핀옵스)

클라우드 거버넌스 시리즈의 이번 편은 재무(Finance)입니다.
클라우드 도입 기업이 늘어나며 가장 큰 업무 챌린지를 겪게 된 것은 CFO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클라우드로 인해 기존에 CaPex(Capital Expence, 설비투자비용)로 잡혔던 IT 자산을 OpEx(Operational Expence, 운영비용)으로 관리하게 되며 IT 자산의 재무적 본질이 달라지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OpEx는 신경써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죠. 기간과 사용량, 퀄리티 등에 따라 다달이 금액이 달라질 수 있고, 동반되는 인적∙물적 항목도 여러 가지입니다. 그리고, 부서별 비용 분배와 비용 예측이 그리 간단치 않습니다.
IDC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APEC 기업의 86%는 경쟁력 유지를 위한 IT 비용 증가에 대한 고민이 매우 높으며, IT 비용 절감 이슈는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안이라고 합니다. 조사 대상 기업의 86.4%는 IT 재무 관리 담당자가 있다고 답했는데요.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핀옵스(FinOps) 거버넌스 구축 및 적용, 정확한 비용 예측, 클라우드 비용 상품의 이해와 최적화, 빌링과 리포트, 낭비되는 비용 확인 등 매우 다양합니다. 이 모든 것을 1명의 담당자 또는 팀이 해결할 수 있을까요? 때문에,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기업들이 효과적인 클라우드 거버넌스를 확립하는 것을 가장 우선순위로 꼽았습니다.
효과적인 핀옵스(FinOps) 거버넌스 구축방법

효과적인 핀옵스 거버넌스 확립 시 확인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확인 Discovery
현재 사용 중인 인스턴스, 서비스, 비용, 사용률,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 등 확인 - 식별 Identification
계정 및 사용자, 관리자, 관련 부서 등 단계별 태깅 및 그룹화 - 적절한 용량 Rightsizing
미사용 인스턴스 추적, 활용도 낮은 시스템 사용량 조정 등 낭비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 - 리포팅 Reporting
정기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량 및 패턴, 궤적 확인 - 예약 인스턴스 구매 Instance Buying
리포트 분석 기반 효과적인 예약 인스턴스 활용으로 비용 절감 - 지속적인 최적화 Ongoing Optimization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최적화
필요한 핀옵스 거버넌스를 구축했다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점검하고 유지해야겠죠? 일일이 점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거버넌스를 지원하는 CMP(Cloud Management Platform) 툴을 사용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 비용, 자원, 성능, 보안 등에 관한 항목별 거버넌스 확립
- 정기적 규정/규칙 준수 검사 및 미준수 시 해결
- 대시보드를 통한 거버넌스 준수 가시성 확보
- 더 나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조치 및 보완사항 정기 검토
그리고, 마지막은 비용 분배입니다. 알맞게 잘 사용한 자원, 비용은 정확히 나누어야죠.
- 자원의 서비스/조직/워크로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룹화
- 조직 별 자원 및 비용 사용 현황 조회 및 관리
- 부서/서비스별 개별 비용과 공통 비용의 구분
- 정기적 자원/비용 모니터링
핀옵스 거버넌스 구축과 효과적인 사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여기에 클라우드 보안 거버넌스도 함께 확립한다면 더할 나위가 없겠습니다. 보안 사고는 주로 비용과 직결되는 양상을 띄기 때문에, 잘 꾸려진 보안정책으로 안전을 확보하고, 이상 자원이나 비용을 탐지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시면 어떨까요?
📰 안보면 클나우
통신 3사 Q2 매출 2%대 성장… 5G 확대 및 신사업 성장 주효 더보기
통신 3사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었습니다. 통신과 함께 비통신 사업의 경우에도 가시적 성과를 보였는데요. 특히 SKT의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133% 증가했다고 합니다.
구글 클라우드 아시아태평양 3개 지역 리전 출시 더보기
구글 클라우드가 말레이시아, 태국, 뉴질랜드 리전 출시를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구글 클라우드 진출 리전은 총 34개로 늘어날 전망인데요. 오는 2025년이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클라우드 지출은 2,820억 달러(약 369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합니다.
대퇴직시대, HR테크가 노동 시장 판 바꾼다 더보기
2020년 약 30조 원 규모였던 HR테크 시장이 2028년이면 약 47조 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는데요. IT 기술 인력난 심화와 원격 근무 도입 등으로 HR업무가 대변화에 직면하면서 HR테크 혁신 기업들에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 안쓰면 클나우

지난 베스픽에서는 CMP 솔루션 옵스나우(OpsNow)를 통해 어떻게 클라우드 운영을 잘할 수 있는지 소개해 드렸는데요.
실제 옵스나우를 통해 어떻게 클라우드를 운영하고 보안 사고를 줄일 수 있는지, 옵스나우 개발자가 직접 알려드립니다📢
👉 옵스나우 개발자 인터뷰 바로가기
👉 옵스나우 CMP 꿀기능 모두 살펴보기

클라우드 도입 사례, 관리와 비용 절감을 위한 팁은 물론 국내외 IT 업계 소식까지
당신의 클라우드 원픽 뉴스레터 베스픽에서 만나보세요.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매주 화요일, 가장 먼저 베스픽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