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IAM 한도 증가
AWS IAM Service의 Limit(quota)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AWS IAM Service의 Limit(quota)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Abuse 관련 내용은, 이렇게 AWS Abuse팀에서 인지하고 정보에 등록 된 root mail이나 보안담당자 메일주소로 공지 해줍니다. 또는, 내부 담당자가 이러한 침해사실을 인지하는 경우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어떻게 대처 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간과 하시는 것 중에 하나는, 본문 내용을 꼼꼼히 살피셔야 합니다. 어떻게 대응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AWS … Read more
금번 포스팅은 AWS 예상 비용을 산정 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 하고자 합니다. 클라우드는 사용 한 만큼 비용이 발생하는 것 이기에, 막상 사용 하고선 비용이 너무 많이 나왔다고 생각 하시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서비스의 목적을 위해 필요한 옵션들을 아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어떤 서비스를 사용 할지, 확인 하셨다면 예산 비용들을 뽑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비교견적도 필요 … Read more
1. DNS(Domain Name Server) DNS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www.haru.com)을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읽을 수 있는 IP주소(예:192.168.x.x)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인터넷 상의 모든 컴퓨터는 IP Address라는 숫자를 사용해 서로를 찾고 통신한다. DNS가 없었다면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웹 서버의 IP Address를 알아야만 웹 페이지에 … Read more
서론 안녕하세요 베스핀글로벌입니다 🙂오늘 전해 드릴 기술 내용은 많은 분들께서 관심 있어 하실 Aurora Parameter에 관한 내용입니다! 많은 고객님들께서 aurora cluster parameter group 과 instance parameter group의 차이가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해 하십니다. 두 parameter group 에 동일한 parameter도 존재한다면 어떤 값이 우선적으로 적용이 되는지 헷갈리는 점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Cluster parameter vs … Read more
안녕하세요! 베스핀 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Route53”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 2가지 실습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실습 1] “Route53″에서 DNS 구입하기 [실습 2] 다른 곳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에 등록하기 “Route53″의 정의 Route53 서비스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www.haru.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192.168.x.x”와 같이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 Read more
안녕하세요! 베스핀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입니다! 🖐 이번 주제는 태그(TAG)를 사용하여 IAM 사용자 및 역할에 대한 엑세스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 소개해 드릴게요! 먼저 주요 컨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CONTENTS * IAM의 정의와 정책, 권한에 대해선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IAM이란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는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생성 순서 : AWS -> IAM … Read more
안녕하세요! 베스핀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입니다. 😀 이번 아티클에서는 AWS Chatbot을 이용하여 Slack 채널에서 Amazon EventBridge의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Slack 채널을 통해 알림을 받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EventBridge → SNS topic → AWS Chatbot → Slack 아래는 제가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참고하였던 AWS 링크입니다 🙂 해당 링크는 ECS 클러스터의 이벤트 구독에 대한 내용이며, 저는 RDS … Read more
안녕하세요,베스핀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S3 버킷에 대한 수명 주기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객체 수명 주기 관리 S3는 버킷에 저장된 객체의 수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사용되지 않는 파일들을 삭제하거나 다른 곳에 백업하여 S3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 Read more
안녕하세요!! 베스핀글로벌 클라우드 기술지원팀 입니다!! 11월이 되니까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는게 실감되네요..ㅎㅎ 모두 건강 조심하시구!! 꼭꼭 따뜻하게 입고 다니시길 바랍니다 🙂 오늘 게시 할 내용은 RDS Aurora 에서 Audit log 를 활성화 하는 방법입니다!Database를 관리하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간단하게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함께 알아볼까요? 😊 Audit Log 란? audit log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