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스픽의 원픽
10년 후, 우리나라 시총 1위 기업은 여기서 나온다?
전 세계 SaaS 시장은 2022년 약 330조 원에서 2029년 약 1200조 원 규모로 전망됩니다. 매년 평균 19.7%씩 성장하는 셈이죠. 산업의 성장을 알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바로 투자 규모인데요. 투자 혹한기 속에서도 SaaS 기업들의 투자 유치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벤처캐피탈이 투자한 기업 중 45%가 SaaS 기업이라고 하는데요. 2021년 대비 30%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특히나 초기 단계의 SaaS 스타트업 투자가 증가했다고 하네요.
SaaS는 클라우드의 한 종류이지만 이제는 자체적인 산업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클라우드 하면 생각나는 IaaS보다 더 크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죠. 이러한 성장세와 규모, 영향력을 이유로 SaaS 산업을 포스트 반도체 산업이라고도 하는데요. 반도체 산업이 가져온 IT 업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더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반도체 산업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 IT 기기가 우리 일상에 빠르게 자리 잡았습니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의 핵심에도 반도체가 필수인데요. 특히 우리나라는 반도체 덕을 톡톡히 보았습니다. 반도체는 대한민국 전체 수출 중 약 20%를 차지하며 국가 경제 성장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죠.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생산 능력도 모두 2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반도체 강국입니다.
이러한 반도체를 이을 유망 산업이 바로 SaaS라는 것인데요. SaaS는 어떤 혁신을 가져오고 있을까요?
- 디지털 혁신의 가속화: SaaS는 인터넷만 있으면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직접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SaaS를 도입함으로써 최신 IT 기술을 사용하고 손쉽게 디지털 전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비즈니스 속도 향상: 비즈니스에 필요한 여러 기능을 개발하고 운영하려면 많은 인력이 필요한데, 스타트업이나 초기 단계 기업이라면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SaaS를 사용하면 빠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일하는 방식의 변화: SaaS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한 도구가 아닌 SaaS 기업이 추구하는 철학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SaaS를 도입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에 알맞은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반도체 산업은 더 세분화되고 있습니다. SaaS 산업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분야의 SaaS가 등장하고 있죠. 특정 산업에 특화된 것을 ‘버티컬 SaaS(Vertical SaaS)’라고 하는데요. 버티컬 SaaS가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의료, 농업, 유통, 미디어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SaaS를 도입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동안 베스픽에서도 여러 번 소개해 드렸었죠.
팬덤 비즈니스에 특화된 SaaS도 있습니다. 비마이프렌즈는 팬덤 플랫폼을 만드는 SaaS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인데요. 최근 미국의 벤처캐피털로부터 379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팬덤이라고 하면 아이돌 가수가 먼저 떠오르실 수 있지만 사실 스포츠, 인플루언서, 애니메이션 등 팬이 있는 곳은 더 많습니다. 요즘 Z세대 사이에서는 프로게이머 팬덤이 아이돌만큼 커지고 있다고 하고요. 애플이나 나이키와 같이 기업들도 소비자를 넘어 팬을 모으고 관리하는 팬덤 마케팅을 주목합니다.
이처럼 니치(Niche)하지만 확장성이 있는 시장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SaaS 기업들이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보안, AI, 에너지 등 SaaS 영역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데요. 이스라엘의 클라우드 보안 SaaS 기업 위즈아이오(Wiz.io)는 창업 3년 만에 기업 가치 100억 달러를 달성하며 데카콘이 되었고요. 챗 GPT로 인해 AI 붐이 일면서 SaaS와 AI가 결합된 AIaaS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참고 기사)
SaaS 산업이 커지면서 기존의 IT 기업들도 SaaS로 눈을 돌리는 추세입니다. 클라우드를 도입해 인프라만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 자체를 SaaS로 만들기 시작한 것이죠. SaaS 비즈니스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 구독 비즈니스: MRR(Monthly Recurring Revenue, 월간 반복 수익)은 SaaS 비즈니스의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데요. 쉽게 말해 매달 꼬박꼬박 수익이 발생하는 것을 뜻합니다. SaaS는 구독형으로 판매되게 때문에 수익 예측이 가능하고, 비교적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 최신 업데이트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 SaaS의 핵심은 지속적인 업데이트에 있습니다. SaaS는 업데이트된 기능을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하거나 구매할 필요가 없이 바로 반영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 기능과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라이센스나 업데이트 버전을 따로 관리할 필요도 없습니다.
- 손쉬운 글로벌 진출: SaaS는 클라우드 기반이기 때문에 현지에 가지 않아도 전 세계 고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술, 문화, 비즈니스 등이 공통화되었다는 점에서도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SaaS를 통해 글로벌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독일의 시총 1위 기업은 어디일까요? 폭스바겐? BMW? 정답은 SaaS 기업인 SAP입니다. 미국 유니콘 기업의 80%는 B2B SaaS 기업입니다. 미국에서 SaaS는 일반 사람들에게도 매우 익숙한 개념입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국내 SaaS 산업은 2025년까지 1조 원 규모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시장이 이미 약 330조 원 규모인 것에 비하면 매우 작은 편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아직 SaaS는 업계 관계자들을 제외하고는 낯선 개념입니다.
하지만 이제 시작입니다. 국내 SaaS 기업이 1천 개를 넘어섰으며, 센드버드(Sendbird)와 같은 글로벌 유니콘 기업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AWS, MS 등 클라우드 빅테크 기업들도 한국의 SaaS 스타트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시장뿐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본격적으로 SaaS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한번 상상해 보았습니다. 10년 뒤 우리나라 시총 1위 기업이 SaaS 기업이지 않을까요? 지금 우리나라 경제를 뒷받침하는 반도체 산업처럼, 10년 뒤 우리나라 경제를 지탱하는 산업은 SaaS이지 않을까요?
오늘 베스픽이 성지글이 되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SaaS 산업,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질문을 남겨주세요. 앞으로 읽고 싶은 주제나 내용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그럼 다음 주에 만나요!
👉 오늘 베스픽에 대한 질문이나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ICT 기술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빅데이터가 클라우드와 AI, 그리고 IoT를 만나 공공 안전에 기여하는 매우 긍정적인 사례입니다. 첨단 ICT 기술이 우리 삶에 깊숙히 들어와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고요. 출퇴근길이나 나들이 나가실 때 붐빌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왠지 생각했던 것보다 원활하다고 느끼신다면 우리 지자체에서 새로운 ICT 기술을 도입한 것 아닐까(?) 하고 추측해 보시면 어떨까요?
📰 안보면 클나우
빅테크의 생성 AI 경쟁,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으로 확장 더보기
클라우드 빅3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의 AI 기술 활용에 나섰습니다. AI 앱 개발·운영에는 막대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매출의 10~20%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돌아간다고 하네요. 급증하는 AI 처리 수요가 빅테크의 돌파구가 될까요?
가트너, 사이버 보안 주요 전망 발표… 보안 제어 설계 시 ‘개인 중심’ 필요 더보기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가장 위험한 요소는 ‘사람’인 것, 잘 알려져 있죠. 가트너 조사에 따르면 업무 중 보안 상 위험한 행동을 했다고 인정한 직원의 90% 이상이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면서도 행동했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MSP, 국내 SW·SaaS 기업 글로벌 진출 확대 돕는다 더보기
SaaS의 글로벌 진출이 늘면서 MSP가 SW 기업의 수출을 돕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마켓플레이스 제품의 등록을 대행해주기도 하며, 특히 서드파티 솔루션 통합 형태로 함께 글로벌에 진출하는 선단형 해외 진출이 돋보입니다.
☁️ 안쓰면 클나우
어도비, 마이크로소프트, 오토데스크, 인튜이트… 이 기업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SaaS 기업으로 전환에 성공한 기업이란 점입니다. 그리고 현재 각 분야를 대표하는 SaaS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죠. 한주의 돈 되는 SaaS에서 각 기업별 SaaS로의 전환기를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어도비: 세계금융위기를 계기로 경기 침체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재정적 기반을 마련해야 했던 어도비. 비즈니스의 모든 부분을 SaaS로 전환함으로써 2021년 매출 19조를 기록했습니다.
👉 SaaS로 19조 매출 외않되? 어도비의 드라마틱한 매출 성장기
마이크로소프트: 스마트폰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정체기가 시작된 MS. 2014년, Office 365와 팀즈의 SaaS 전환은 CEO 사티아 나델라의 퍼스트 클라우드 전략과 함께 이뤄졌습니다. 이후 주가 상승과 함께 7년 만에 시총이 7배 성장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7배 떡상, SaaS 덕분?
오토데스크: 구버전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 재정 기반을 마련해야 했던 오토데스크. CAD 소프트웨어 시장의 리딩 플레이어에서 과감히 SaaS 기업으로 전환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 매출에서 50% 상승한 38억 달러를 이뤄냈습니다.
👉 불법복제 시달리던 오토데스크, 50% 매출 상승 비법??
인튜이트: 시장 점유율 74%에 달하던 핀테크 기업 인튜이트. 안정적인 성장에 만족하지 않고 SaaS 전환을 진행했고 SaaS 전환 첫해, 놀랍게도 매출 감소율은 단 1%뿐이었습니다.
👉 매출 2배 상승, 주가는 6배 떡상! SaaS로 폭풍 성장한 인튜이트
🔎 BeSaaS: 베스핀 SaaS 파헤치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IT 담당 부서를 넘어 전 조직의 협조와 변화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클라우드 거버넌스(Cloud Governance)가 반드시 필요한데요. 클라우드 비용, 자원, 성능, 보안 등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점검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SaaS 솔루션 OpsNow360 Governance를 소개합니다.
왜 OpsNow360 Governance를 써야할까요?
- 손쉬운 클라우드 비용 거버넌스 구축: AWS, MS Azure, Google Cloud를 아우르는 300여 개의 사전 정의된 규칙을 제공합니다. 이를 이용해 클라우드 비용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클라우드 비용 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편리한 거버넌스 규정 준수 검사 및 현황 파악: 일일이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점수와 대시보드를 통해 기업의 클라우드 관리 현황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규정 미준수 시, 즉시 개선 또는 해결 방안 제공: 거버넌스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항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유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액션을 취하거나 해결 방안을 안내합니다.
🎁 OpsNow360이 처음이라면? 신규 고객을 위한 1년간 10% 할인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OpsNow360 기능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는 베이직 플랜을 통해 클라우드 자원과 비용, 거버넌스까지 간편한 클라우드 관리를 직접 경험해 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 OpsNow360 Governance 자세히 살펴보기
클라우드 도입 사례, 관리와 비용 절감을 위한 팁은 물론 국내외 IT 업계 소식까지
당신의 클라우드 원픽 뉴스레터 베스픽에서 만나보세요.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매주 화요일, 가장 먼저 베스픽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