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4월 금융당국은 ‘금융 분야 클라우드 및 망 분리 규제 개선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일률적·획일적으로 적용되어 온 망 분리 규제를 개발·테스트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완화하겠다는 내용인데요. 여기서 ‘망 분리’가 무엇이며, 규제 완화의 필요성과 앞으로의 보안 방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해요.
클라우드, 금융의 생각을 바꾸다
세계국가경쟁력 1위 덴마크, 디지털 정부 1위와 무관할까?
국내 전자정부 이용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체감 만족도는 낮은 우리나라. 반면 전자정부 발전 지수 1위 덴마크는 전 연령의 전자정부 접근성과 만족도 역시 높다는데요.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요?
오징어게임도 파친코도 클라우드 덕을 봤다고요?
최근 무섭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K-Culture, K-Pop, K-Movie의 기반에 클라우드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IT 판도가 클라우드 중심으로 바뀌며 기존 콘텐츠 유통망이 크게 변모한 영향이 컸다고 봅니다.
SaaS, 어디까지 왔을까? (Feat.이커머스 편)
이커머스 기업이라면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바로 수익성입니다. 이러한 이커머스 산업에서 SaaS 플랫폼을 선택한다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는데요. SaaS의 이용이 어떤 장점으로 적용할 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AWS SaaS Boost Installation
AWS는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공식 Github Organization이 있으며, 그 이름은 바로 awslabs입니다.
이 repository에서는 AWS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 및 샘플 코드를 공개합니다.
AWS는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기술과 도구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AWS 서비스를 좀 더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AWS SaaS 관련 리서치를 진행하며 awslabs가 제공하는 “aws-saas-boost” repository를 우연히 발견하였습니다. 설명서를 읽어보고 어떤 연관이 있는 지 궁금하여 이를 설치하고 분석해보려 합니다.
Repository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매뉴얼에 따르면 SaaS application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주요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멀티 테넌시 지원
– 사용자 인증
– 빌링 및 결제
– 이메일 서비스
– 이벤트 기반 architecture
– Frontend 개발 지원
AWS SaaS Architecture Fundamentals White Paper 2
안녕하세요 🙂
AWS 인프라 환경에서 Saa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키텍처 기초에 대한 백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SaaS Architecture Fundamentals White Paper 1’에서 이야기한 Control Plane, Application Plane에 대한 이야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글은 원문을 해석하는 데 오역 및 주관적인 관점이 포함 될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한계없이 진화한다, 소프트파워 2.0 시대
이젠 소프트파워의 시대, Digitalization은 소프트파워의 폭풍 성장을 이끈 주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함께 도래한 Soft Power 2.0은 매일 기록을 갱신하고 한계를 넘고 있다는데요. 어떤 진화들이 이뤄지고 있을까요?
야, 너두 커머스할 수 있어✊ 사장님 되는 가장 빠른 방법을 알아보자!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모든 상거래를 통칭하는 이커머스, 최근 이커머스의 각기 다른 측면을 가리키는 새로운 커머스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이렇게 이커머스 시장이 크고 다양해지기까지 SaaS의 힘이 크다고 하는데요. 무슨 이야기일까요?
AWS SaaS Architecture Fundamentals White Paper 1
안녕하세요 🙂 AWS 인프라 환경에서 Saa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키텍처 기초에 대한 백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여기서는 SaaS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내용과 기초 아키텍처 개념을 정리하려고 합니다.이 글은 원문을 해석하는 데 오역 및 주관적인 관점이 포함 될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카카○도 컬○도 탐내는 핫한 시장이 있다?
[버티컬 SaaS 2탄] 컬리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SaaS 산업에 진출했다는 소식이 들리는데요. 팬데믹 이후 이커머스 시장이 활발해지며 물류 시장의 경쟁이 치열하다네요. 해결사로 등장한 물류 SaaS, 이번주 베스픽에서 다뤄봅니다.